[부동산] 누구나집3.0, 뭐 누구나집??? 일단 누구나집 홈페이지에 내용이 있으니까 자세한 설명은 보다는 이 정책에 대한 이해와 비판을 좀 해보도록 하자.... 뭐 복잡할 거 없이 이 '누구나집'은 집값을 10%만 있으면 내집 마련이 가능하다고 한다. 오우씨~~~~ 개꿀이네.....일단 이 정책은 성공 여부를 떠나서 시행된다면 신청자들한테는 정말 개꿀인 정책인 것은 확실하다. 정책을 예를 들어 좀 쉽게 설명하자면 공공부지에 민간 사업자가 공동 주택인 아파트를 만든다. 이 아파트는 최조에 10%를 낸 사람에게 10년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다. 사업자가 건설을 완료하면 아파트에 입주해서 10년간 임대로 거주할 수 있다. 즉, 10년간 월세 살 권리를 10%의 금액을 내고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이 후 10년 뒤에는 이 집을 분양 받을 수 있는 .. 잡다한 이야기/경제 4년 전
[투자] 투자에 대해서....요즘 드는 생각 www.youtube.com/watch?v=07BwZdDzh4U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라는 유튜버다....구독하고 있는 중인데 대부분의 말을 다 공감하는데 특히 오늘 본 내용은 내가 여지껏 짧은 투자 경험에도 비추어 볼 때 엄청난 명제를 말하고 있다. 내가 이 영상을 보고 느낀 요점만 말하면 대부분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투자가 아닌 투기를 하고 있다. 뭐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중요한 것은 투자와 투기의 차이점인데 그 차이가 바로 이 유튜버가 이야기 하는 수익률 인거 같다. 당연해 보이지만 중요한 부분인 것인데 보면 적금은 수익률이 적어서 투자이고 비트코인 같은 것이 투기가 될 수 있다. 물론 뭐 애매하긴 하지만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여튼 중요한 이야기는 "수익률을 키우지 말고 투자금을 키우라"는.. 잡다한 이야기/경제 4년 전
[게임스톱] 전세계를 휩쓰는 게임스톱 사태 정리 제목은 게임 스톱 정리라고 했는데 뭐 정리하는 건 나보다 슈카가 더 잘하는 걸로 보이고 슈카 영상을 링크하겠다. www.youtube.com/watch?v=NXZlCgkCtpg&t=1853s 영상보면 알겠지만 내가 보기엔 앞뒤 사정에서 공매를 쳤다고 뿌린 내용만 제외하면 에이치엘비와 비슷한거 같다. 작년이었던 거 같은데 에이치엘비도 이와 같은 비슷한 현상이 나왔다. 현재 주가를 보면 뭐 결과도 비슷할 거 같긴한데 정리해 보자면 공매가 주가가 과열되었다고 싶어 개미 뜯어 먹으려고 공매를 쳤는데 임상이 성공하면서 주가가 상으로 치고 올라가고 이에 개미들은 공매를 쳤고 공매한 주식을 갚아야하는 기일은 다가오니 계속 매수를 하고 주가를 방어했다... 결국 주가는 폭등했고 이후 수익 실현을 한 것인지는 몰라도 다.. 잡다한 이야기/경제 4년 전
[경제] 요즘 핫한 이야기 공매도.... 요즘 핫한 공매도 폐지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보려고 한다. 주식을 하는 사람들은 한번쯤은 들었을 공매도..... 일단 내가 자주보는 유튜브 채널에서 공매도 이야기가 잘 정리되어 있다. 뭐 대부분이 나와 결이 같은 의견을 말하고 있기 때문에 이 영상을 보면 내 글을 읽는 것과 거의 같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공매는 일단 "빌릴 공"자를 쓰기 때문에 우리말로는 "빌려서 판다"가 되겠다. 개미인 우리가 하는 매매법은 돈으로 주식을 매수 후 매도를 하는 구조지만 공매는 반대로 일단 주식을 빌려서 나중에 주식을 갚는 구조다. 뭐 사실 구조는 비슷한다. 우리가 돈이 없다면 돈을 빌려서 주식을 사고 주식을 팔고 돈을 갚는다. 돈을 갚을 때는 소정의 이자를 빌려준 사람에게 준다. 공매는 주식을 빌려서 주식을 팔고 다시 .. 잡다한 이야기/경제 4년 전
[경제] 정부가 적정 임대료 정한다. 정부가 적정 임대료 정한다…與 '임대차 5법' 추진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주택 상태를 기준으로 적정 임대료 수준을 산정하는 '표준임대료제' 도입이 추진된다. 주택 임대차 관계에서 발생하는 분쟁의 심의·조정을 담당하는 주택임대차분쟁조�� news.naver.com 정말 어디까지 가려고 하는지 가늠이 안간다. 얼마나 더 자유시장 경제를 망쳐놔야 이 짓을 멈출건지.....대체 정부가 무슨 신이라도 되냐? 아....참....이 쪽 사람들은 달님이 왕이지..... 나참....저걸 누가 어떤 기준으로 적정하다고 정할 것인가....현재의 시장 논리로 정해진 것이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인가? 정부에서 지들 맘대로 여긴 내 생각에는 비싼거 같으니 이 가격이 적당해라고 하며 정할 것인가? 부동산도 그렇고 제품도 그렇고.. 잡다한 이야기/경제 5년 전
[경제] 이익공유제....이거 실화냐? 뜨거운 감자된 '협력이익공유제'…재계 "反 시장적 제도" [아이뉴스24 이연춘 기자] 정부와 여당이 시장원리에 맞지 않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협력이익공유제' 도입을 강행키로 하면서 재계 곳곳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대내외 악재를 버티고 있� news.naver.com 내가 요즘 왠만하면 이제 정말 포기하고 살고 있었는데 요새 정부와 여당이 하는 짓이 정말 해도 해도 너무 한다 싶어서 또 이런 포스팅을 하게 된다. 원래 본업인 전자쪽 포스팅 위주로 하려고 했는데 이건 뭐 정말 답답하다. 최근 다시 이익 공유제를 간보고 있고 아마도 178석의 위력으로 아마도 통과 시킬 거 같은데 이게 말이 되는 법안인지 좀 생각 좀 하고 실행했으면 좋겠다. 이번 정권은 정말 유토피아를 꿈꾸는건지 아니면 공산주의를 실.. 잡다한 이야기/경제 5년 전
[경제] 베블런효과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는 가격이 오르는데도 과시욕이나 허영심 때문에 고가 제품의 수요가 줄지 않는 효과를 말한다. 이 용어는 미국의 사회학자 소스타인 베블린이 1899년에 출간한 잡다한 이야기/경제 5년 전
[경제] 블랙 컨슈머 1. 프로슈머 (prosumer) -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를 합성한 신조어로 상품 제조과정에 소비자가 깊숙이 관여해서 자신이 원하는 대로 제품을 생산해내는 '생산적 소비자'를 뜻한다. 2. 크리슈머 (cresumer) - 크리슈머는 창조를 나타내는 creative와 소비자를 나타내는 consumer의 합성어로 우리말로 하면 '창조적 소비자' 정도로 해석이 되겠다. 창조적 소비자라는 말과 같이 기존 제품을 변형해서 만들거나 두 상품을 합치는 등을 하여 새로운 상품을 만드는 사람을 뜻한다고 보면 된다. 3. 블랙컨슈머 (black consumer) - 블랙 컨슈머는 자신이 구매한 상품의 교환이나 보상금을 목적으로 의도먹으로 기업에 악성 민원을 제기하는 소비자를 뜻한다. 잡다한 이야기/경제 5년 전
[경제이론] 트리클다운 트리클 다운은 양동이가 꽉차 첨치면 그 아래로 물이 흘러 내리는 것을 의미하며 낙수효과라고 한다. 정부가 투자를 늘려 대기업과 부유층의 부를 먼저 늘려주면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에게도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 결국 경기가 활성화 된고 덩당아 경제발전과 국민복지가 향상된다는 이론이다. 미국에서는 조지 워커 부시가 1989년에 경제 정책으로 실시했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MB 정부도 이 트리클 다운을 기초로 경제 정책을 기초한 것이다. 트리클 다운은 기업들의 법인세를 깍아주던가 규제를 덜어주는 등의 기업 친화적 정책을 펴면 이 혜택을 받은 기업들이 고용을 늘리고 부를 물 흐르듯 흘려 가난한 사람도 잘 살게 한다는 것이다. 이 트리클 다운의 문제는 정부의 혜택을 받은 기업이 돈을 많이 벌어도 사내유보금 형태로 쌓아놓고 .. 잡다한 이야기/경제 5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