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를 사용하다보면 외곽 부분에 번호가 찍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걸 그리드 참조라고 한다. 그리드 참조는 전체를 크게 격자모양으로 나누어 그 구역을 표시하는 것으로 1-2에 어떤 부품이 있다 뭐 이런식으로 표현하면 금방 대략적인 위치파악이 가능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회로가 있다고 하자. 이때 AS179-92를 설명할 때 오른쪽 중간에 있는 소자 AS179-92라고 말할 것이다. 이걸 1-C 구역에 있는 AS179-92라고 하면 더 쉽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좋은 시스템이긴 하나 요즘 같은 시대에는 생각보다 이런 예전에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을 활용하지 않는 경향이 많이 있다. 나 또한 굳이 사용하지 않고 살고 있는데 이게 뭐 몰라도 큰 지장은 없더라...
여튼 이런 설정을 대부분의 CAD에서는 할 수 있고 OrCAD에서도 할 수 있다.


Option->Schematic Page Properties...->Grid Reference에서 설정할 수 있다.
1. Horizontal : 가로축 설정으로 몇개로 나눌지와 알파뱃으로 할지 숫자로 할지 왼쪽을 기준으로 숫자(알파뱃)을 증가 시킬 건지 감소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Width는 레퍼런스를 표시할 부분의 줄간격 즉, 폭을 의미한다.
2. Vertical : 세로축 설정으로 몇개로 나눌지와 알파뱃으로 할지 숫자로 할지 왼쪽을 기준으로 숫자(알파뱃)을 증가 시킬 건지 감소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Width는 레퍼런스를 표시할 부분의 줄간격 즉, 폭을 의미한다.
3. Border Visible : 외곽 테두리를 표시할 지를 설정한다. 화면표시와 Print 옵션이 있다.
4. Grid Reference Visible : 외곽 그리드 참조를 표시할 지를 설정한다. 화면표시와 Print 옵션이 있다.
5. Title Block Visible : 타이틀 블록을 표시할 지 설정한다. 화면표시와 Print 옵션이 있다.
6. ANSI grid references : ANSI 표준에 맞추어 그리드 참조를 사용할지 설정한다.
참고로 출력할 때 어떤 건 이상하게 출력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여기에서 Width 옵션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서 그렇다. 누가 잘못 설정을 해서 이어져 왔는지 모르겠는데 Width를 안보이게 한다고 0으로 하면 이런 대참사가 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