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DS] 창(옵션 등)이 없어졌을 경우 대처법 PADS 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다가도 창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 원인은 모니터에 있다. 모니터 환경이 바뀌어서 그렇다. 예를 들면 모니터를 3개 쓰는 사람이 있는데 메인은 중간이고 양 옆으로 서브로 쓰고 있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한개만 사용한다고 한다면 3개 쓰는 사람이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 후 내부에 특정 기능의 자식창을 서브 모니터로 넣고 사용할 때 한개 모니터 쓰는 사람이 이 프로그램을 그냥 사용하면 창이 엉뚱한데 가 있게 된다. 이건 프로그램마다 좀 차이가 있는데 환경 정보에 창 위치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같은 경우가 이런 문제를 가지게 된다. 남이 쓰는 프로그램도 아닌데 그러는 경우는 아마도 모니터의 배열을 바꾸었을 경우다. 주 모니터 변경이라던지 서브의 오른쪽 왼쪽의 이동 등이다.. 아트웍 & PCB 이야기/PADS 4개월 전
[팁] 원드라이브 (OnDirve) 폴더 이름 변경 회사에서 MicroOffice365를 사용하게 되었다. 예전 회사에서는 보안상의 문제로 또는 비용적인 문제로 구독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지금의 회사에서는 사용하게 되어 사용을 하니 역시 구독이 최고!!! 여튼 그래서 유료 계정도 있겠다 싶어서 원드라이브를 검토를 해보았다. 원래는 동기화 프로그램을 받아서 USB 하드를 들고 다니면서 각 PC마다 동기화를 시켰었는데 이게 여간 귀찮은 것이 아니었다. 작업을 시작하기전 항상 동기화를 하고 항상 USB 하드를 들고 다녀야 했으니까.... 여튼 그래서 몇가지 동기화 프로그램을 더 찾다가 어차피 유료 계정이라 1T의 공간이 있는데 이걸 사용하자는 생각으로 원드라이브를 활성화 시켜봤다. 내 개인적인 의견의 원드라이브는 좋다고 말은 못하겠는게 설정의 자유도가 너.. 잡다한 이야기/팁 11개월 전
[팁] PDF 서명 넣기 PDF로 문서가 와서 그쪽에 서명을 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 예전에는 인쇄해서 직접 직인 또는 사인 후 스캔했었는데 요새는 뭐 문서에 도장 스캔한 것을 올리기도 하는 등 실제 도장이나 사인이 아닌 이미지를 문서에 올려서 넣는 경우도 꽤 인정되는 실정이다. 서로 문서를 공유할 때, 특히 중요문서인 경우 변조를 못하게 PDF로 공유하는 경우가 있고 문서에 서명을 해야하는 경우를 많이 격는다. 뭣도 모를 때는 PDF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그 위에 서명 이미지를 올리고(이미지 배경 삭제도 하고) 이 편집된 이미지를 다시 PDF로 변환하는 뻘짓의 과정을 거쳐서 품질이 떨어진 PDF 파일을 얻는다. 이런 뻘짓을 줄여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서명을 온라인에 올려야 하는 부담이 있긴 하지만 그나마 Ad.. 잡다한 이야기/팁 11개월 전
[PADS] 비아 추가 및 배선 중첩하기....Route Loop 일단 일반적인지는 모르겠는데 전원을 신경쓰고 전력을 생각해서 배선을 하는 경우는 레이어를 변경할 경우 배선이 좁아지는 현상이 나오기 마련이다. 레이어에서 아무리 두껍게 패턴을 그려도 비아를 통과하게 되면 면적이 좁아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림과 같이 0.6T로 진행하다가 비아를 0.3짜리를 거치면 면적이 작아진다. 물론 Via를 크게 가져가야 되겠지만 소형화 등을 고려하면 Via 크기는 부담이 된다. 그래서 나의 경우는 Via의 갯수를 늘려서 작업을 하는데 이런 작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을 포스팅한다. 일단 Via는 라우팅을 하던 도중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Add Via를 선택하면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End를 누르면 1개의 Trace에 2개의 Via가 생긴다. 2개의 Via를 Trace가 가는 .. 아트웍 & PCB 이야기/PADS 약 1년 전
[LED] LED 불켜기 (직렬 저항) 기본적인 LED를 켜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기초니까 뭐....경험상 전자 전공한 설계 초년생 또는 회로 설계를 책으로만 배운 사람들은 의외로 잘 모를 때가 많다. 그것에 대해 설명을 간단히 하는 포스팅이다. 이론적으로 LED에 전원을 접속하면 LED는 저항이 0으로 생각하고 설계를 한다. 당연히 다이오드니까 전압 강하만 있고 저항은 없다고 봐야한다. 그러므로 저항없이 바로 걸면 전원 출력의 최고 전류를 흘리게 된다. 그러므로 전류량만 계산하면 LED는 쉽게 켤 수 있다. 직류 회로에서 각 소자에 걸리는 전류는 같다. 즉, 저항 R에 흐르는 전류가 곧 LED에 걸리는 전류가 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전류는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R에 흐르는 전류를 맞춰주면 된다. 이 때 주의할 것은 LED에 저항이 0.. 전자 이야기/전자 회로 기초 약 1년 전
[PADS] Decal 이형 패드 그리기 PADS에서 데칼을 만들시 이형패드를 그리는 방법을 포스팅 하고자 한다. 사실 이번 포스팅은 CR2032 코인 전지를 사용하는데 이때 홀더를 그리다가 안그려져서 그거 하는 김에 작성을 하는 것이다. 참고로 많은 사람들이 아는지 모르겠는데 PADS에서 데칼을 그릴 때 PAD의 최대 사이즈가 있다. 원의 경우는 12.7mm 이상은 안그려진다. 그래서 CR2032 코인 전지의 홀더가 17 파이인데 이게 안그려진다. 이와 같이 일반 패드로 안그려지는 경우와 특이한 모양의 패드를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다. 방법은 간단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홀더를 그리는 걸로 예를 들어보겠다. 1. 적당한 사이즈의 PAD를 그린다. 어차피 같이 묻히기 때문에 그 안에 묻히는 사이즈면 된다. 아래는 17파이를 그려야 하는데 그.. 아트웍 & PCB 이야기/PADS 약 1년 전
[부품] PTC 리셋 가능 퓨즈 회로를 그리던 중 참고 도면에 PTC 퓨즈가 있어서 이게 뭔가 좀 알아봤다. 난 써 본 적이 없는 부품이라 간단하게 확인해 봤다. PTC와 NTC라는 말은 온도 소자에서 나오는 말이다. 난 RF 회로 사용시 회로의 출력을 온도에 따라 보정할 때 NTC 써미스터를 많이 사용했었다. 여기서 PTC는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NTC는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로 온도 변화에 따라 비례로 저항이 증가하느냐 반비례로 증가하느냐를 의미한다. 즉, 내가 사용했을 때의 써미스터는 NTC를 사용했고 대부분의 전자 소자들은 온도가 올라가면서 성능이 열화되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NTC로 전류를 더 밀어주었다. 잡설은 이만하고 이번에 이런 소자를 사용하게 되.. 전자 이야기/부품 이야기 약 1년 전
[한글] HWPX->HWP 변환 최근 아래 한글 문서 확장자가 .HWPX로 오는 경우가 있다. HWPX 는 한컴 오피스 홈페이지에 아래와 같이 되어 있는데 뭐가 다른지 잘 안사용해봐서 잘 모르겠다. 여튼 HWPX 문서를 열려고 하니 너무 구버전이라서 그런가 혹은 업데이트를 안해서 그런지 열리지 않는다. 홈페이지에 호환 가능한 걸로 나오는데 페쇄망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조금 힘든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확인해보니 변환 방법이 있더라....폴라리스 오피스에서 변환이 가능한데 다른 온라인 변환과 마찬가지로 온라인데 올리면 변환된 파일을 받을 수 있다. https://www.polarisofficetools.com/hwpx/convert/hwp PolarisOffice Tools 문서를 간편하게 다루는 온라인툴 PolarisOfficeTool.. 지식/컴퓨터 2년 전
[EFR32BG] Bluetooth 예제 실행하기 EFR32 보드의 예제를 실행할 때 일반 IO를 다루는 예제나 기본 기능 예제는 동작을 하는데 Bluetooth를 사용하는 예제를 사용할 때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나온지 얼마 안되는 칩이라서 그런지 정보도 많지 않고 쓰는 사람도 많이 보이지는 않았다. 뭐 다른 칩도 마찬가지긴 한데 이거 사용하는 사람이 나처럼 포스팅이나 유튜브를 하는 경우는 흔치 않으니 많이 안써서 그렇다고 보기도 어렵긴 한데 여튼 정보 찾기가 쉽지 않다. 물론 거의 모든 정보는 홈페이지에 가면 다 있긴 한데 이게 찾아서 보고 필요한 내용을 선별하는게 여간 힘들지않다. 당연한 말이지만 학습을 해야 하니 좀 쉬운 길을 찾기 마련이다. 여튼 서론이 길었고 썬더보드를 이용하여 성능을 확인하고 PCB 설계를 해서 보드를 만들었다. 다운로.. 프로그램 이야기/EFR32 2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