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1931을 이용한 음전원 출력 회로 그림 1은 LT1931을 이용하여 음전압 출력하는 회로를 나타낸다. LT1931의 어플리캐이션에 있는 데로 설계하여 동작 시키면 잘 동작한다. L1과 L2는 출력하려는 전류 용량에 맞추어 부품을 선정하여 준다. R10과 R14로 FeedBack 양을 조절하여 출력 전압을 조절하면 된다. 4번의 ShutDown 핀은 사용하지 않으면 저렇게 전원에 연결하면 되고 제어가 필요하면 제어핀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LT1931은 소자 크기는 작으나 어차피 스위칭 소자들은 소자 자체의 크기보다 출력 용량에 맞추어 L과 C가 커지게 되므로 소자의 크기 자체는 크게 영향은 없다. 5PIN의 간단한 연결로 작은 전류의 음전압이 필요하다면 사용하기 괜찮은 IC로 생각된다. 전자 이야기/회로 이야기 5년 전
2 배전압 정류회로 그림1은 전파 배전압 정류회로로 AC 전원이 +일 경우 D1을 통해 C1에 충전하고 -일 경우는 C2에 충전이 되어 부하에는 2Vp의 전압이 걸리게 되어 2배의 배전압 회로가 된다. 그림 2는 반파 배전압 정류회로로 AC 전원이 -에 D1을 통해 C1이 충전되고 +인 경우에 C1에 충전된 전압과 Vp의 전압이 중첩되어 2Vp의 전압 D2를 통해 C2에 충전되게 된다. 전자 이야기/회로 이야기 5년 전
간단한 정전류 ON/OFF 회로 회로 설명은 동작의 이해를 돕기 위한 직관적인 개념 설명으로 한다. PNP TR의 BC간의 다이오드가 0.6V 정도에 Turn On이 된다. 이 특성을 이용하여 R1에 전류가 흘러 전압이 0.6V가 걸리면 PNP-TR이 Turn On이 되면서 P-CH FET가 Turn OFF가 되고 전류가 잠시 차단되며 R1의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다시 PNP-TR이 Turn OFF가 되면 P-CH FET가 다시 Turn ON이 되는 현상을 반복하여 R1에 걸리는 전압이 0.6V 정도가 되게 유지한다. 이 현상이 반복되며 0.6V/R1(A)의 전류를 LOAD 저항에 흘리게 된다. 여기서 R1은 전류 설정을 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0.6V*I(W)의 전력이 걸리게 되므로 허용전력.. 전자 이야기/회로 이야기 5년 전
무선통신 시스템 개요 1. RF 1) Radio Frequency로 무선(Wireless) 중 특정 영역을 말함 2) 전파 법규상 3THz이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로 정의하나 통상적으로 수백 MHz 부터 수천 GHz의 전자기파로 사용됨 3) 주파수에 따라 그 용도가 다름 2. 전파 (Propagation) 1) 전파(Radio Wave)의 전파(Propagation)는 자계와 전계의 변화에 의해 발생 2) 전계가 변화하면 자계가 그 방향의 수직으로 발생하며 자계가 변화하여도 이와 같이 수직의 방향으로 전계가 발생함 3) 통상적으로 전계를 변화시키기 쉽기 때문에 전계의 변화로 전파함 4) 이 때 전자기파의 진행속도는 진공에서 빛의 속도와 동일함 5) 전파에서 중요한 방정식은 “맥스웰 방정식” 인데 이는 기존 전기자기학 분.. 전자 이야기/무선통신 시스템 5년 전
전자 회로에 대하여...... 내가 전자에 입문한지도 어언 23년쯤 된 것 같다..고등학교를 어쩌다보니 공과를 가게되었고 전자의 시작은 바로 거기서 시작되었다. 전자를 20여년간 하면서도 아직도 뭘하고 있는지 모를 때가 종종 있다. 기본적인 개념이 부족했기 때문일까? 아님 모든 사람들이 거의 나같이 그냥 배워서 밥벌이 하면서 그렇게 사는 걸까? 현재 왠만한 실력을 가지고 있다고 자부하지만 사람은 알면 알 수록 더 모르는게 사람인가 보다.... 전자회로의 기본 부터 차분히 다시 밝아 가면서 지난 날에 했던 일들과 비교해 보면 서서히 느껴지는 것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앞으로 최대한 기본기 부터 차분히 다시 실력을 쌓으며 나와 같은 사람들과 나를 위해 포스팅을 해 보려고 한다. 전자 이야기 5년 전
단위와 미터법 접두어 단위와 미터법 접두어 전자공학에서는 측정 가능한 물리적인 양을 다루어야 한다. 미터법 접두어(metric prefix)는 흔히 사용되는 10의 거듭제곱에 대한 빠른 표기법(shorthand)으로서 공학적 표시법과 함께 사용된다. 1. 전기량과 이와 관련되는 SI 단위 및 기호 2. 기호와 미터법 접두어 전자 이야기 5년 전
진공관 (眞空管, Vacuum-tube) 1. 진공관의 구조 1) 진공관 - 진공 속에서 금속이 가열될 때 전자가 방출되는 열전자 방출 현상(에디슨 효과)을 통해 방출된 전자를 전기장으로 제어하여 정류, 증폭 등의 특성을 갖도록 금속 부품과 회로가 들어간 유리관 부품. 2) 구조 (3극 진공관) - 유리관 : 진공관의 몸통을 이루는 부분으로 대부분 유리관이 사용된다 - 캐소드 : 열전자를 방출 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라멘트. 전기를 가하면 히터가 동작하며 열전자를 방출한다. - 플리어드 (에노드) : 큰 판 모양의 부품으로 캐소드에서 방출된 전자가 이쪽으로 이동한다. - 그리드 : 두 철사 사이에 전극을 망이나 그물 모양으로 감아 놓은 형대로 캐소드와 플리어드(에노드) 사이에 위치하며 전자의 흐름을 제어한다. 2. 진공관의 동작 원리 1) 구조에.. 전자 이야기 5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