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튜플은 소괄호로 정의하며 내장 함수도 사용이 가능하다. 앞서 포스팅한 내용은 기본적인 내용이고 이에 대한 활용에 대해 알아보겠다.
[Python] 파이썬의 튜플(Tuple) 자료형
튜플 자료형이란 다양한 자료형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집학적 자료형이다.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값을 변경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튜플 자료형은 소괄호로 정의한다. 튜플 자료형은 리스
electric-lab.tistory.com
튜플은 정의시 소괄호로 정의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원소만 튜플로 정의할 경우 다른 자료형과 혼동되게 정의가 될 수 있다. 이 때는 콤마를 넣어서 튜플 자료형으로 정의한다.
사실 튜플형은 소괄호로 정의를 안해도 문제가 없긴 하다. 그러나 다른 예외 상황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형식을 지켜서 정의하는 것이 좋겠다.
튜플도 마찬가지로 함수를 활용하는게 핵심이다.
1. count 함수 : 해당 값의 갯수를 리턴한다. 인수는 갯수를 확인할 값이다.
2. index 함수 : 해당 값의 인덱스를 리턴하는 함수로 값이 여러 개일 경우는 첫 가장 작은 인덱스 값을 리턴한다.
728x90
반응형
'프로그램 이야기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의 활용 (0) | 2021.10.07 |
---|---|
[Python] 파이썬 사전(dict) 자료형의 활용 (0) | 2021.10.06 |
[Python] 파이썬 리스트(list) 자료형의 활용 (0) | 2021.10.06 |
[Python] 파이썬, 집합(Set) 자료형 (0) | 2021.10.02 |
[Python] 파이썬, 사전(Dict) 자료형 (0) | 2021.10.02 |